취미생활/나스

시놀로지 나스 저장소

로또예비당첨자 2023. 1. 18. 17:00
반응형

나스를 사면 가장먼저 고민하게 되는점이 저장소입니다. 

하드를 어떤 레이드로 묶을지 많은 고민을했고 그러면서 정리한 점을 공유합니다.

여러개의 하드를 하나로 묶는 방식을 RAID 라고 부릅니다.

흔히들 아는 RAID방식은 RAID0, RAID1, RAID 5, RAID 6, RAID 10,  JBOD, Baisc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SHR 방식 이정도만 알고 가겠습니다.

 

레이드별로 간단하게 장단점을 따지면 

 

RAID0 

    장점 : 이론상 드라이브가 추가될 수록 일기 및 쓰기 속도가 빨라진다.

              용량 손실량이 적다.  

    단점 : 드라이브가 하나라도 고장나면 디스크 전부에 피해가 간다.

 

RAID1

    장점 : 디스크하나가 고장나도 같은데이터가 다른데 똑같이 미러링 돼있기 때문에 안전하다.

    단점 : 용량 손실량이 많다.

 

RAID5 

    장점 : 안정하지만 용량도 효율적으로 잡았다.  많이쓰이고있다.

    단점 : 패리티가 속도를 잡아먹기때문에 속도적에선 빠르다고 할 수 없다. 

    

 

RAID6 

    장점 : RAID5 보다 데이터 보존력이 뛰어나다

    단점 : 패리티를 여러번 쓰기때문에 RAID5보다 느리다.

 

 

RAID10

    장점 : RAID0의 속도와 RAID1의 안정성을 합쳤다. 

    단점 : 기술적으로 복잡하다, 최소 4베이 이상 필요하다.

 

 

SHR

    장점 :  RAID5와 유사하나 버려지는 용량으로 추가구성이 가능 , 새로운 드라이브 추가하기가 쉽다.

    단점 :  구성이 복잡해지고 복구가 복잡해진다.

 

 

2Bay로 SHR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2베이일경우 RAID1과 다를바없지만 추후 드라이브를 추가하기 용이하게 SHR로 사용하고 있었고 조만간 4Bay로 업그레이드를 할 예정이였으나...

결국 고민하고 고민한끝에 RAID 로 묶지않고 그냥 하드하나하나 RAID를 엮지않는 방식으로 결정했습니다.

 

선택은 본인자유 RAID를 어떻게 구성하던지 백업이랑은 다릅니다.  백업을 생활화 합시다.

 

 

 

 

    

 

 

반응형